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

왜 우리는 선택을 후회할까? "후회를 부르는 인지부조화의 심리학"

by 평사남 2025. 4. 8.

선택한 후의 후회, 누구나 겪는 감정일까요? 아님 소수의 사람만이 겪는 걸까요?

“그때 왜 그런 선택을 했을까?”, “다시 돌아갈 수만 있다면…” 말하고 뒤에서 후회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처럼 우리는 크든 작든 선택한 이후에 후회를 자주 경험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후회는 단순히 선택이 잘못되었다는 사실 때문만은 아닐 것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와

같은 감정을 '인지부조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선택함으로써

우리의 가치, 신념, 기대와 어긋나면 불편한 심리 상태가 생기게 되고, 우리는 이런

상황을 극복 또는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인지부조화 이론을 중심으로 근본적인 후회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최소화 및 줄일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부조화 심리학 이미지
인간의 인지부조화 이론 이미지 사진

 

 

인지부조화란 무엇인가요?

심리적 불편함의 근원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는 1957년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에 의해

처음 제안된 개념입니다. 이는 서로 충돌하는 두 가지 인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할 때 느껴지는

심리적 불편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해”라고 말하면서도,

야식으로 치킨을 자주 먹는다면, 건강 신념행동 간 상충 불일치로 인해 불편한 감정,

즉 인지부조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의 뇌는 이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행동을

바꾸거나, 생각을 바꾸거나, 상황을 왜곡 등 합리화하려고 하죠.

 

 

결정마비와 인지부조화

선택 전에도 후회를 걱정하는 심리

우리는 종종 수많은 선택지 앞에서 망설입니다. 이른바 결정마비(Decision Paralysis)

상태입니다. 선택이 많을수록 최적의 결과를 얻지 못할까 봐 불안하고, 과거의 경험 등의

트라우마로 인한 그 불안은 후회 가능성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죠. 

특히 중요한 결정일수록 인지부조화의 강도가 커지고, 이는 마치 선택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처럼 느껴지게 듭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종종 "아무거나 해" 혹은

"다 귀찮아" "될대로 되라지" 라는 식의 회피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후회이론으로 보는 인간의 심리

선택의 결과보다 후회 가능성을 고려하는 인간

심리학의 후회이론(Regret Theory)은 사람들이 선택을 할 때 기대되는 이득뿐 아니라 후회

가능성까지 고려한다고 설명합니다. 즉, “잘못 고르면 후회할지도 몰라”라는 생각이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죠. 예를 들어, 고급 식당 예약을 고민하다가 결국 패스트푸드로

대체했는데, 친구가 "거기 완전 맛있었다더라"는 말을 했을 때, 이전 결정이 잘못된 선택

처럼 느껴지며 후회하게 됩니다. 이는 선택 후 다른 선택지에 대한 긍정 정보가 인지부

조화를 유발하고, 이를 감정적으로 '후회'로 해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기합리화와 자포자기

인지부조화를 해결하려는 심리 전략들

자기합리화(Self-Justification)

우리는 불편한 감정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선택을 스스로 정당화합니다.
예: “내가 그걸 샀던 건 할인 중이었기 때문이야”
이처럼 자기합리화는 자존감을 지키고 심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기제입니다.

 

자포자기(Learned Helplessness)

반복된 실패나 후회로 인해 "나는 뭘 해도 잘 안돼"라는 학습된 무기력이 생기면, 사람은 선택

자체를 포기하게 됩니다. 이 상태는 우울감이나 무력감으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일상 속

작은 인지부조화가 쌓여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상 속 사례로 이해하는 인지부조화

  • 사례 1: 다이어트 중 야식 먹기
    → "나는 건강을 중요하게 여긴다" vs "야식을 참을 수 없었어"
    →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오늘 하루쯤은 괜찮아”라고 자기합리화
  • 사례 2: 이직 후 만족하지 못함
    → "이 회사가 나에게 더 나을 줄 알았어" vs "기대와 다르네…"
    → 후회, 자기탓, 자포자기감까지 확장 가능
  • 사례 3: 흡연자의 건강 걱정
    →“건강은 정말 중요해. 오래 살고 싶어.” vs 매일 흡연함
    → 순간의 유혹을 극복하지 못하고 후회함

 

Q&A   후회를 덜 하게 하는 Tip

Q. 후회를 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아래의 3가지 전략을 활용해보세요!

 

  1. 결정 기준을 명확히 세우기
  → 즉흥적인 감정이 아닌, 가치 중심의 선택 기준을 미리 설정하면 후회가 줄어듭니다.

  2. 선택 이후는 '정답 찾기'보다 '의미 찾기'
  → "이 선택에서 내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후회를 성찰로 바꿔줍니다.

  3. 선택지 비교를 멈추고 실행에 집중하기
  → 선택 후 다른 가능성에 대해 자꾸 생각하면 인지부조화가 강화됩니다.

       비교는 멈추고, 현재에 몰입하세요.

 

 

마치면서   "후회는 인간적이지만, 계속 반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우리가 후회하는 건 잘못된 선택을 했기 때문이 아니라, 선택에 대한 기준과 책임의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지부조화는 모든 인간이 겪는 자연스러운 심리 현상이며,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정서적 건강이 달라집니다. 우리가

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완벽한 선택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선택을

통해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하고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완벽한

인간이 아니기에 인정하고 노력하는 자세가 진정 요구된다고

생각해 봅니다. 

인지부조화 심리학 이미지
인지부조화 이미지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