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13

사랑이 의리가 되는 순간 – 연애에서 부부가 된 우리 이야기 연애하던 시절이 가끔 그리울 때가 있어요. 밤늦게까지 서로의 얘기를 듣고 싶어서 눈을 비비며 통화하던 기억. 평범한 카페 데이트도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던 그때 그시절. 그 사람과 함께라면 모든 게 설레고 특별했는데... 어느 날부터인지 우리는 같은 식탁에 앉아도 대화를 잃어버린 것 같아요. 사랑이 사라진 걸까요? 아니면, 그냥 모양이 바뀐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연애시절과 부부가 된 후에 사랑의 감정변화와 그에 수반되는 부부간의 서운함, 불만등을 서로를 파악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는 지혜의 시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사랑은 변하지만, 사라지지 않아요많은 부부가 결혼 후 이렇게 말하곤 해요. "예전 같지 않아. 이제는 그냥 의리로 사는 거지." 그 말 속엔 아쉬움도 있지만, 묘한 따뜻함도 .. 2025. 4. 23.
첫 인상이 태도를 결정짓는 이유, "생각보다 오래 가는 그 첫 느낌" “그 사람, 그냥 느낌이 별로야.” 이 단순한 말 한마디 속에는 사실 수많은 감정과 심리적인 판단이 담겨 있습니다. 한 번쯤은 그런 적 있지 않으신가요? 어떤 사람을 처음 봤을 뿐인데, 마치 오래 알고 지낸 사람처럼 ‘이 사람은 나와 잘 맞겠다’, 혹은 ‘왠지 거리감을 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경험 말이에요. 우리는 누군가를 처음 만났을 때, 아주 짧은 찰나, 심지어 눈을 마주치는 단 몇 초만에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무의식적으로 형성합니다. 말을 걸기도 전에, 이름도 알지 못하는 순간에도 우리는 표정, 눈빛, 목소리의 톤, 심지어 자세와 걸음걸이까지 관찰하며 상대가 신뢰할 만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빠르게 판단하죠. 이러한 판단은 단순한 느낌을 넘어, 상대에 대한 우리의 기본적인 태도를 만드는 기반이 .. 2025. 4. 14.
차별의 심리, 무의식적 편견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4편_최종)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때로는 아주 짧은 순간에 그 사람을 판단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 판단의 기준이 항상 객관적이거나 사실에 기반한 것만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우리는 그 사람이 실제로 어떤 사람인지보다, 우리의 과거 경험, 미디어 이미지, 사회에서 학습된 정보 등을 통해 형성된 고정관념과 편견에 따라 반응하게 됩니다. 특히 문제는 우리가 자각하지 못하는, 무의식적 편견(unconscious bias)입니다. 이런 편견은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말투나 시선, 판단 방식 등 행동 전반에 미묘하게 영향을 미칩니다. 결국 이는 의도치 않게 차별적인 언행으로 이어지고,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런 무의식적 편견을.. 2025. 4. 14.
차별의 심리, 무의식적 편견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3편) 우리는 스스로를 공정하고 편견 없는 사람이라 믿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도 많은 사람들이 차별을 반대하고, 평등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하죠. 하지만 우리의 의식과는 달리, 행동이나 판단에서는 무의식 속에 자리 잡은 편견이 영향을 미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직업, 나이, 외모, 인종에 대해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거나, 아무런 근거 없이 누군가를 단정짓는 순간이 누구에게나 존재합니다. '나는 절대 차별하지 않아'라고 말하면서도, 어느새 특정 집단이나 사람을 향한 고정관념을 기반으로 판단하거나 거리를 두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무의식적 편견은 눈에 띄지 않게 작동하며,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누군가에게는 기회 박탈, 오해, 불이익이라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겉으로.. 2025. 4. 13.
차별의 심리, 무의식적 편견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2편) 사회는 겉으로 보기에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채 작동하는 무의식적 편견이 숨어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특정 집단이나 개인을 판단할 때, 그 사람의 실제 특성보다는 우리가 내면에 갖고 있는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작용은 나쁜 의도가 없어도 차별적 태도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데 일조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런 편견을 갖게 될까요? 또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까요? 1편에 이어 2편에서는 사회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바탕으로 무의식적 편견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실질적 영향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편견 형성의 심리학 "사회범주화 이론"사회범주화(S.. 2025. 4. 12.
차별의 심리, 무의식적 편견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1편) SNS에서 본 사람의 외모, 뉴스에서 들은 특정 집단에 대한 이야기… 우리는 의식하지 못한 채 타인을 판단하고 차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판단은 명확한 의도 없이도 우리 내면에서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심리적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차별의 심리’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무의식적 편견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왜 우리가 이런 판단을 하게 되는지, 그 기저에는 어떤 심리적 메커니즘이 존재하는지를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무의식적 편견은 단순한 오해가 아닌, 우리 사회의 차별 구조를 지탱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더 나은 이해와 포용으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 편견이란 무엇인가?무의식적 편견(Implicit Bias)은 말 그대로 우리가 의식..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