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지원금)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이점 완벽 비교

by 평사남 2025. 3. 26.

청년내일저추계좌 홍보안내 이미지
청년내일저추계좌 홍보안내 이미지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목적 중위소득 이하 청년의 목돈 마련 (자산 형성)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 및 자립 지원
가입 대상 만 19~34세 /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만 19~34세 / 가구소득 중위 100% 이하 / 근로 중인 청년
정부 지원 방식 매월 납입액에 비례한 정부기여금 + 이자 비과세 혜택 일정 금액 저축 시 정부 1:3 매칭지원 (3년 기준 최대 1,440만 원 지원)
가입기간 최대 5년 3년 유지 필수
월 납입금액 자유롭게 월 최대 70만 원까지 월 10만 원 이상 (정부가 30만 원 추가 매칭)
총 수령 가능 금액 약 5,000만 원 (납입+이자+기여금 포함) 약 1,440만 원 (정부 지원 포함)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까지 가능 (폭넓음) 중위소득 100% 이하 (더 엄격)
신청방법 은행 앱 또는 방문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용도 제한 자유롭게 사용 가능 자립 목적 외 사용 시 환수 가능
중도 해지 기여금·이자 일부 회수 정부지원금 전액 환수 가능

청년도약계좌_이미지
청년도약계좌_이미지

 

 

핵심 요약

  •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이하 청년을 위한 장기 자산 형성 상품. 월 40만 원 납입 가능, 최대 5,000만 원 수령 가능.
  •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청년의 자립을 돕기 위한 정책성 계좌.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30만 원 매칭.

 

어떤 계좌를 선택해야 할까?

이런 분이라면 추천 계좌
일정한 소득이 있고, 여유 자금을 꾸준히 저축할 수 있다면 청년도약계좌
저소득층이고, 소액으로도 지원을 많이 받고 싶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

 

두 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자신의 소득 조건과 목표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청년계좌 상상 이미지사진
청년계좌 상상 이미지사진